통상 우리들이 사용하는 캔들 차트는 일본에서 유래된 차트로 일본의 '혼마'라는 상인에 의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이 정설입니다. 1700년대 당시에 혼마라는 상인은 쌀 거래에서 쌀의 가격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에 대해 고민을 했으며, 이러한 분석법을 발전시켜서 캔들차트가 만들어졌다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일본식 캔들차트는 시가와 종가, 고가와 저가의 4개로 구성되어 있어서 주가 변화 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중에 확인하는 캔들의 경우에 종가는 현재가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캔들의 유형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은 양봉과 시가보다 종가가 낮은 음봉, 마지막으로 시가와 종가가 같은 도지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양봉의 경우에는 매수세가 매도세보다 강하여 주가가 상승 마감한 상태이고, 음봉의 경우에는 매도세가 매수세보다 강하여 주가가 하락 마감한 상태입니다.
생각하시는 것처럼 도지형이란 매도세와 매수세가 균등하여 시가에서 변동없이 그대로 마감하는 것을 말하는데 몸통의 길이는 곧 매수세 혹은 매도세가 상대적으로 얼마나 강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꼬리의 경우에는 시가/종가와는 별개로 일중 가장 높았던 주가(고가)와 가장 낮았던 주가(저가)를 나타냅니다. 캔들의 위쪽에 있는 꼬리는 일중 고가를 나타내며, 아래쪽의 꼬리는 일중 저가를 나타냅니다. 음봉의 경우에는 캔들의 윗부분이 주가의 시작한 가격이고, 아랫부분이 장이 종료될 때의 가격입니다. 양봉의 경우에는 아랫부분에서 주가가 시작되며 윗부분에서 종료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캔들에서는 나름대로의 의미를 도출해낼 수 있습니다. 캔들의 몸통은 그 날의 장세에서 매수세와 매도세의 상대적인 강도를 알 수 있는데, 장대양봉(음봉)이라고 표현하는 긴 몸통은 상대적으로 강력한 매수(매도)세가 형성되었다는 것이고, 도지형과 같이 몸통이 거의 없거나 아주 짧은 몸통은 매도와 매수가 균등하게 일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윗꼬리와 아랫꼬리의 경우에는 장중에 형성된 고가와 저가를 의미하는데 꼬리가 길면 길수록 시가(and/or), 종가와 장중 최고가(and/or), 최저가와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강력한 매수/매도세의 등장이나 전환의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꼬리가 없는 형태의 캔들은 양봉의 경우 시가가 저가이고, 종가가 고가인 상황이고, 음봉의 경우에는 시가가 고가이고, 종가가 저가가 되는 상황으로 매수세 혹은 매도세가 강력하여 장중 추세 전환 없이 일정한 주가 방향성이 유지된 것을 말합니다.
해당 일의 주가 흐름에서 고가와 저가, 시가와 종가에 대해서 장 중 가격의 변화 추이 예시를 그린 것입니다. 단적인 예시이므로 시간의 흐름에 대한 주가 변화가 다를 수 있지만 결론적으로 장중의 가격은 1번에서 시작해서 4번에서 종료되고, 2번과 3번은 반드시 거쳤던 주가입니다.
장대양봉은 개장 직후부터 강력한 매수세로 주가가 강하게 상승한 형태입니다. 이러한 경우에 주가 상승을 견인한 요소(모멘텀)이 남아있을 경우다음날까지 상승 출발할 가능성이 높은 형태이나, 주가 상승분에 대한 차익 실현 욕구도 강해지는 만큼 단기 차익 매물에 대한 고려도 해야하는 형태입니다.
장대음봉은 장대양봉과 반대로 개장 직후부터 강력한 매도세가 장중 유지된 형태입니다. 장대양봉이 다음날 상승 출발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장대음봉의 경우에는다음날에도 매도세가 유지되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특히, 다량의 물량으로 장대음봉이 형성될 경우에는 더욱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역망치형의 경우에는 장 초반에 강력한 매수세가 유입되다가 매도 물량이 나오면서 주가가 밀린 형태입니다. 양봉의 경우에는 종가가 어느 정도 매도 물량을 소화한 형태로 접근되기 때문에 향후 주가 상승 여력이 있으나, 음봉의 경우에 윗꼬리가 길게 형성되면 대기 매물이 많다는 의미로 이해되기 때문에윗꼬리가 긴 역망치형음봉의 경우 상승추세 전환이 힘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망치형의 경우에는 장이 시작한 이후에 매도 물량이 있었지만 저가에서 매수 물량의 등장으로 매도 물량을 소화하고 주가가 저가에서 상승 마감한 형태입니다. 양봉의 경우에는장중의 하락세를 전환시켰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장중 호재나 저가 매수 물량이 많았던 상황으로추가적인 상승에 대해서 가능성이 있는 상태입니다.음봉의 경우에는 저가에서 어느 정도 반등한 상태로 마감이 된 상황으로 추가적인 상승의 가능성은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매도의 시기로 이해합니다.
추세라고 함은 사전적인 의미로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말하며, 다른 의미로는 어떤 세력이나 세력 있는 사람을 붙좇아서 따름으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지식백과에 따르면 추세라는 것은 경제변동 중에서 장기간에 걸친 성장/정체/후퇴 등 변동경향을 나타내는 움직임으로 경제분석상의 특수용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추세라는 말이 일반용어로서도 개개의 단편적인 현상에 무관하게 전체로서의 대세가 어떤 방향을 가리키는 것처럼 경제분석에서도 계절변동이나 경기순환 등의 단기변동을 초월해서 지속되는 장기적인 경향을 의미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추세선은 상승하는 추세와 하락하는 추세, 그리고 답보하는 횡보하는 추세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상승세(상승 추세)는 주가 변동의 저점에 집중하여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말하며, 하락세(하락 추세)는 주가 변동의 고점에 집중해서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연스럽게횡보/답보(추세)는 일종의 박스피처럼 주가의 고/저점이 일정하게 횡보하는 상태를 말하게 됩니다.
이러한 설명에서 가장 주요한 포인트는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이며, 추세선을 적용할 때에 변동성이 심할수록 해석하기에 상당히 난해한 부분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추세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추세를 판단하는 기준을 세워야 하는 난관에 봉착하게 됩니다. 사실 이러한 추세선을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사항은 없으며, 단기적인 변동을 초월하는 장기적인 추세의 방향을 단기 스윙 매매를 하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2~4주의 기간이 될 수도 있고, 장기적인 투자를 하는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몇 년의 단위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추세라는 것은 기준을 설정할 때에 특정 기간을 지정해서 판단하는 것은 사실상 적용하기 힘들다고 판단하며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세선이 현재 주가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이 보유한 종목의 성격과 투자 방식에 맞춰서 적절히 혼용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추세를 분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주가의 방향을 아는 것인데, 과연 투자자로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매우 많은 방법들이 있겠지만가장 대표적인 추세선의 활용은 추세의 전환에 따른 매매 시기 판단입니다.만약에 상승추세가 지속되다가 저점이 더이상 오르지 못하고 추세선을 하향 이탈한다면 상승 추세의 종료로 매도해야 하는 시기로 판단되며, 하락추세가 계속되다가 추세선을 상향 이탈하게 되면 주가가 상승을 시작하는 도입부라고 판단하여 매수가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
추세선과 항상 같이 판단되는 것이 지지선과 저항선입니다. 쉽게 말하면 지지선은 주가 변동 저점(낮은 가격)의 연장선으로 하방(추가적인 가격 하락)으로의 이탈을 막아줄 것으로 예상되는 연장선이며,
저항선은 주가 변동의 고점(높은 가격)의 연장선으로 연장선상의 상방(추가적인 가격 상승)으로의 상승을 방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선입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은 추세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좌측의 빨간 선 같은 경우에는 지지선입니다. 주가는 지지선을 유지하며, 하향 돌파 없이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후에 파란색 화살표에서 주가는 지지선을 하향 돌파하고 하락 추세로 전환하게 됩니다. 지지선을 하향 돌파 후 하락 추세로 전환하는 시기가 대표적인 매도 시기입니다.
하락세(+매수 시기 판단)
위의 그림에서는 반대로 하락 추세 중인 주가의 모습입니다. 주가는 파란색 실선으로 표시된 저항선을 상향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 추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후에 빨간 색 화살표를 기점으로 저항선을 돌파하게 되는데, 하락 추세가 상승 추세로 전환되어 새로운 지지선을 만들었습니다. 이 전환의 시기가 대표적인 매수 시기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해서 상승세에서는 주가 변동성의 저(and/or 고)점을 연결하여 추세선을 그릴 수 있고, 하락세에서는 고(and/or 저)점을 연결해서 그릴 수 있습니다.마찬가지로 보합(횡보)세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상승추세선을 하향 이탈하는 시기는 매도의 신호이며, 하향추세선을 상향 이탈하는 시기는 매수의 신호라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잘 사용하지는 않으며, 주가의 방향성을 확인하고 해당 근거를 찾는 일종의 종목 분석으로만 활용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추세선이라고 함은 주가의 등락 경향성인데, 지속되는 것인지 아니면 단기적인 현상인지를 파악하거나, 지속적인 실적의 개선 혹은 부진으로 인한 것인지 등 개인적으로 주가 변화에 대한 이유를 찾아서 투자(혹은 매매)를 해야하는 이유를 설정하고 스스로 평가 및 분석하기 위함입니다.
공격적인 투자성향이 강할 수록 스몰캡에 대한 투자가 비중이 커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특히 단기적인 주가의 변동이 인위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할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 자체가 과거의 경향성으로추세를 형성할 수 있었던 주가 이동의 근거들(실적 향상, Capa 투자, 일시적인 감소, 산업 Cycle 등)이 향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인지, 얼마나 지속이 될 것인지에 대한 철저한 전망 분석을 통해서 판단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