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7일 삼성전자에서 기다리던 실적 공시가 나왔습니다. 현재 삼성전자의 실적에 대하여 사상최대라는 수식어들이 많이 뉴스화되고 있습니다. 다만 역대급 실적이라는 평가에도 함께 붙는 수식어는 '52주 신저가 경신'인데, 그 이유에 대해서 평가가 분분합니다.
특히나 최근 코로나19 장기화와 함께 러시아로 인한 전쟁 발생까지 겹쳐서 원자재 가격의 급등이 원가 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고, 공급망 위기의 해소는 아직까지 소원한 상황에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삼성전자는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논란으로 인해서 큰 이미지 실추가 있었던 상황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실적에 많은 기대를 걸었습니다.
역대 최대의 매출인 77조원이라는 타이틀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삼성전자이지만 주가는 또다시 52주 신저가를 경신했습니다. 과연 지금이 삼성전자를 매수할 수 있는 시기인지, 공시자료와 하이투자증권의 증권리포트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전자 실적발표
매출액 77조(역대 최대), 영업이익 14조 1천억
전년동기(1Q21)대비 매출액 17.76%, 영업이익 50.32% 증가
공시된 내용으로만 본다면 결과로 찍힌 숫자는 훌륭합니다. 전년동기뿐만 아니라 전기대비로도 실적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세부적으로는 반도체 부문의 경우 환율이 급등한 분기 말 출하 증가와 함께 ASP(Average Selling Price, 평균 판매 단가)의 하락이 예상보다 적었기 때문에 실제 컨센서스를 상회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예상으로는 2분기 실적 전망도 밝은 상태입니다. 2분기 영업이익은 NAND 가격 인상과 함께 DP 부문에서 고객사 보조금 지급으로 인하여 15.3조원(2Q22 영업이익)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래에 있었던 키옥시아 오염 및 지진 문제로 인한 낙수 효과로 인해서 NAND 출하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에 우려되는 점
IT 업황에 있어서 4Q21에 예상을 상회했던 IT Set 출하량이 2022년 들어서부터는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노트북에 대한 출하량은 장기적으로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경우 생산량에 비하여 실판매량이 저조한 이유로 재고 누적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사항으로 키옥시아 사건으로 인하여 단기적으로는 NAND 가격 인상이 유력하나, 해당 문제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기 때문에 하반기에 NAND 가격에 대한 하방 압력 가능성이 있다는 점과 DRAM 현물 가격이 3월 중순부터 하락 중이라는 점, 그리고 주요 DRAM 고객사들의 재고가 정상 수준을 상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2분기에 DRAM 고정 가격 상승 싸이클 진입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존재합니다.
특히, 미국 정부의 긴축 강도와 함께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강도가 맞대결하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쪽의 파급력이 더 강력할지를 모르기 때문에 섣부른 판단은 어려운 상태입니다. 미국의 긴축은 OECD 국가들의 전반적인 경기 및 수요 둔화를 발생시킬 것이며, 미국의 IT 업계에 중간재를 공급하게 되는 국내 반도체 업계는 저조한 실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반대로 중국의 경우에는 최근 경기 부양책의 강도가 약하나,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통한 강력한 경기 부양 정책 발생 시 국내 반도체 업황에는 중국 부양책에 의한 효과가 더욱 긍정적일 것이기에 상황에 따라 반도체 실적이 크게 나뉠 것입니다.
삼성전자 매매 전략
삼성전자 주가는 경기선행지표들과 밀접하게 연동되어 왔으나, 오히려 기업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DRAM 가격, 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 등의 업황 요인과는 오히려 반대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이투자증권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반도체 가격의 변화와 실적만을 고려한 투자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4나노 수율 문제점, GOS 논란, 3나노 고객 이탈 루머 등의 악재들이 터져나온 상황에서 고평가 구간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시기일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역사적 평균 저점 배수인 PBR 1.2배 수준인 6만원대 초중반까지도 예상되는 상황으로 해당 구간 내에서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21년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상당 기간에 걸쳐 조정을 받았고, 현재 위치에서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이 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격적인 매수보다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와 중국의 부양 정책을 고려해서 장기적인 매수와 함께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미국 금리 인상 완화, 중국 금리 인하 등)를 확인하며 접근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